코로나 충격 장기화, 금값 5년 이내 2만달러 간다
컨텐츠 정보
- 1,586 조회
- 2 추천
- 목록
본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경제 후폭풍이 장기화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면서 금값 강세론이 힘을 얻고 있다.
경기 침체가 가시화된 데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 이외에 금 제련소 폐쇄와 운송 마비가 금값 상승을 부추긴다는 분석이다.
월가 투자자들이 추세적인 금값 상승 가능성에 한 목소리를 내는 가운데 일부에서는 금값이 앞으로 5년간 오르며 온스당 2만달러까지 뛸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9일(현지시각) 마켓워치에 따르면 장 초반 금 선물이 2% 이상 상승하며 온스당 1720달러 선에서 거래됐다. 이는 2012년 이후 최고치에 해당한다.
연초 이후 금값은 9% 이상 랠리, 같은 기간 뉴욕증시가 20% 이상 하락한 것과 커다란 대조를 이루고 있다.
금값이 오르는 데는 투자자들의 공포감 이외에 다양한 배경이 자리잡고 있다. 먼저, 구리를 포함한 주요 상품과 달리 금은 실물경기 사이클과 산업 수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금값이 코로나19 충격에 주요국 경제가 '셧다운' 되면서 하락 압박을 받는 대다수의 원자재와 차별화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인플레이션 헤지 기능을 갖는다는 점도 식품 가격을 중심으로 인플레이션 상승이 예상되는 상황에 금의 투자 매력을 높이는 부분이다.
이와 함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필두로 한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완화 정책도 투자자들의 금 매입을 부추긴다.
금리 인하와 유동성 공급은 통화 가치를 압박하는 요인이고, 이미 신흥국 통화는 전반적인 위험 자산 시장과 함께 동반 하락했다.
이와 함께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불거진 특수 상황도 금값 상승 전망에 설득력을 실어준다. 멕시코와 남아공을 중심으로 주요국 금 제련소가 가동을 멈추면서 현물 생산과 공급에 차질이 발생한 것.
이와 함께 골드바와 금 주화의 일반적인 운송 수단인 항공편 운항이 마비된 것도 최근 금값 상승에 힘을 실었다는 분석이다.
최근 런던의 금 현물 가격 대비 뉴욕상업거래소의 선물 가격의 괴리가 70달러까지 벌어진 것도 공급 교란과 무관하지 않다.
플로리다 소재 게인스빌 코인스의 에버트 밀만 대표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금을 구하려고 백방으로 뛰고 있지만 거래가 막혔다"고 전했다.
무엇보다 금값 강세론이 힘을 얻는 것은 코로나19가 초래한 경제 후폭풍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는 이날 CNBC와 인터뷰에서 "학교는 가을쯤 정상화 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경제 활동 재개와 회복에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경제가 자동적으로 팬데믹 사태 이전으로 돌아가기는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18개월 가량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도 지구촌 경제의 코로나발 침체가 장기화될 여지가 높다고 전망했다. 공급망 교란에 수요 쇼크, 이어 대규모 실직과 이른바 소득 위기까지 파괴적인 결과가 연쇄적으로 나타나고 있고, 이를 회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월가 투자은행(IB) 업계는 금을 지금 사도 늦지 않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골드만 삭스는 금 선물이 온스당 1800달러까지 오를 가능성을 제시했고, 위즈덤 트리는 2000달러 돌파에 무게를 실었다.
레이 달리오 브릿지워터 어소시어츠 대표는 현금이 아니라 금이 '왕'이라고 주장했고, 금 로열티 및 스트리밍 업체인 토론토 소재 프랑코 네바다의 피에르 라송드 회장은 금값이 추세적인 상승세를 연출하며 2~5년 이내에 온스당 2만달러까지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