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단 금값, 내년까지 쭉 오른다
컨텐츠 정보
- 1,964 조회
- 4 댓글
- 2 추천
- 목록
본문
전 세계 금 시세가 말 그대로 '금값'이다. 새해 벽두 중동에 전쟁의 기운이 고조된 데 이어 확산하고 있는 코로나19(COVID-19) 출현이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를 부추기고 있다. 올해 1월 구리, 알루미늄 등 산업용 금속 가격은 하락한 반면, 귀금속 금 선물 시세는 지난 2013년 4월 이후 6년여 만의 최고치(1월 31일 기준 온스당 1589.8달러)를 기록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뉴욕지점의 수키 쿠퍼 귀금속 선물 애널리스트는 보고서에서 "중국 춘제(春節·음력설) 연휴가 시작되면 금 매수세가 완화되는 것이 통상적인데, 올해 가격은 연초에 높아진 상태 그대로였다"며 "하지만 우리는 금 매수 포지션에 과도한 쏠림이 있다고 보고 있진 않으며, 하반기에도 금 가격이 계속 높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 2003년 사스 비해 훌쩍 커버린 중국 경제
일각에서는 전 세계 최소 20개국에서 800명의 목숨을 앗아간 사스(SARS·급성중증호흡기증후군) 발병 당시인 2003년을 보면 코로나19발(發) 경제적 충격은 오래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다. 새로운 확진자 소식이 점차 줄면 경제는 금세 회복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질병으로 인한 경제 충격은 5개월을 넘긴 적이 없다.
그러나 사스 발병 때와 다른 점은 중국 경제의 달라진 위상이다. 2003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비중은 전 세계의 4.3% 수준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16.3%를 넘었다. 세계 교역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2003년 5%에서 2019년 12%로 높아졌다. 중국 경제가 커진 만큼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여파가 훨씬 클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사스 당시는 아시아 사례로 그쳤다면, 중국인 해외여행객이 급격히 증가한 지금은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인 이벤트가 됐다. 2003년 2000만명에 불과했던 중국인 해외여행객은 지난해 1억6800만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관광산업은 직격탄을 맞았다. 관광 데이터 업체 OAG에 따르면 지난 2월 6일 기준 항공사 30곳이 중국행 항공편 운항을 중단했고, 취소된 항공편만 2만5000편에 달했다. 글로벌 관광업계가 코로나19발 충격에서 회복하는 데는 1년 반~4년이 걸릴 것이란 관측도 제기됐다. 세계여행관광협회(WTTC)에 따르면 통상 바이러스 발병 이후 관광객 규모가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데는 19개월이 걸린다.
제조업도 타격을 입긴 마찬가지. 글로벌 공급망인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춘절 연휴를 늘리면서 애플, 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은 현지 영업점을 일시적으로 폐쇄하고 공장 가동을 멈췄다. 애플은 3월 신제품 출시 지연을 우려했고, 테슬라는 모델3 생산이 지연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이 이어진 지금,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는 각 회사 계열사, 납품업체, 부품협력사까지 도미노 피해가 예상된다.
무엇보다 중국 정부가 투명하게 코로나19 현황 집계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면서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는 상황이다.
◆ 저금리 지속, 금 투자 매력 Up
전 세계적으로 경기 부양을 위한 저금리 기조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금값 상승으로 이어지던 상황에서 코로나19까지 닥쳐 금 가격에 날개가 달렸다.
지난해 금값은 18% 올라 2010년 이래 최대 연간 상승폭을 기록했다. 세계 경제성장 둔화, 중앙은행들의 저금리 기조 때문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작년 세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했고, 그해 6월부터 9월까지 온스당 1250달러였던 금 가격은 1550달러까지 상승했다. 유로존 기준금리는 제로(0), 예금금리는 연 -0.5%이며 일본 중앙은행(BOJ)도 마이너스 금리를 유지하고 있어 가치보존 측면에서 통화의 매력은 줄어든 상태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로 세계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인하했거나 인하를 시사하고 나섰다. 지난 2월 5일 태국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치인 1%까지 인하했다. 세계 경제에 충격이 예상된다며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내비쳤다. 브라질 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4.25%까지 7차례 연속 인하했다. 벤자민 디오크노 필리핀 중앙은행 총재는 지난 2월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코로나19 여파로 금리를 가능한 한 빨리 내리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 "금 가격, 내년엔 더 오른다"
코로나19가 언론 헤드라인을 장식하기 이전 로이터통신이 36명의 상품 애널리스트와 트레이더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올해 금 선물 시세 전망치 중간값(median price)은 1546달러로 나왔다. 이는 3개월 전 같은 설문에서 예측한 값보다 34달러 상승한 것으로, 지난해 평균 가격인 1394달러보다 높다. 2021년에는 이보다 더 상승한 평균 1600달러를 제시했다.
쿠퍼 애널리스트는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위상을 재확인했다"며 미 연준은 올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은 올해 7년래 최고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INTL FC스톤의 로나 오코넬 애널리스트는 "장기적 위험회피 투자자들이 시장에 남아 금 가격을 견지해 줄 것"이라고 했다.
홍콩 에버브라이트증권의 브루스 얌 외환부문전략가 역시 올해 금 가격은 지속적으로 오를 것이며, 단기적으로는 온스당 1624달러, 심지어 역사상 최고치(1889.7달러)에 근접한 1800.2달러까지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사람들이 다른 어떤 투자보다 마스크를 사는 것에 관심이 있을 때 투자자들은 올해 더 많은 금을 살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